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불교의 수행방법(보시, 지계, 인욕, 정진, 지관)

by ◈⊙‡♧§▒ 2023. 2. 10.

불교에서는 오행을 실천하면 누구나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지관의 다섯 가지 실천 방법을 오행이라고 합니다. 오행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불교의 오행

1. 보시(布施)

한자뜻: 布 베 포, 施 베풀 시

의미: 남에게 베푸는 마음

  • 어려움에 처한 사람이 찾아와 도와줄 것을 요청하면 힘닿는 데까지 베풀어야 합니다.
  • 위급한 상황에 처한 사람을 만났을 때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능력 안에서 도와야 합니다.
  • 물질로 베푸는 것뿐만 아니라 마음을 위로하고 지혜를 나누는 것도 보시입니다.
  • 보시할 때는 베풀었다는 생각을 하거나 대가를 바라지 않아야 합니다. 베풀고 대가를 바라면 기쁜 마음이 사라지고 서운한 감정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2. 지계(持戒)

한자뜻: 持 가질 지, 戒 경계할 계

의미: 계율을 잘 지키는 마음

  • 행동, 말, 생각으로 만드는 나쁜 일을 경계합니다.
  • 살해, 도둑질, 음란한 행동, 거짓말, 괴롭히는 말, 이간질, 욕심, 화내기, 어리석은 생각 하지 않기입니다.

 

3. 인욕(忍辱)

한자뜻: 忍 참을 인, 辱 욕될 욕

의미: 참고 견디는 마음

  • 불이익을 당해도 화를 내거나 보복하지 않습니다.
  • 어떤 상황에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고 편안하게 받아들이며 참습니다.
  • 특히 화가 났을 때 원래부터 화낼만한 것이 없다는 것을 알고 마음이 지어냈음을 알아차려야 합니다.

 

4. 정진(精進)

한자뜻: 精 정할 정, 進 나아갈 진

의미: 정성을 다해 게으름 없이 노력하는 마음

  • 모든 공덕을 부지런히 닦아 자신과 이웃의 이익을 생각하는 마음으로 정성을 다하며 게으름 없이 꾸준하게 노력해야 합니다.
  • 정진이 급하면 지쳐 쓰러지고 느리면 사람을 게으르게 하기 때문에 극단에 치우치지 않고 중도를 닦아야 합니다.

 

5. 지관(止觀)

한자뜻: 止 그칠 지, 觀 볼 관

의미: 생각을 멈추고 차분하게 명상하는 마음

  • 정신을 집중해 육체적 욕망에도 흔들리지 않고 고요하고 움직이지 않는 마음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 같은 말로 '사마타(止)'와 '위빠사나(觀)'라고 합니다. 사마타는 마음의 움직임을 조용하게 하는 것이고 위빠사나는 순간순간 변하는 마음을 관찰해 알아차림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