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사태 취약 지역 이란?(산사태위험지도)

by ◈⊙‡♧§▒ 2023. 7. 18.

산사태 취약지역은 집중호우, 태풍, 강풍 등의 원인으로 산사태가 발생하면 인명이나 재산피해가 우려되는 곳으로 산사태위험지도를 통해 산사태 취약지역 인지 미리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산사태 취약지역

특히 장마철 집중호우가 계속되면 물이 스며들면서 틈이 생기고 흙과 돌더미가 무너집니다. 산사태가 일어나기 바로 전에는 작은 돌이나 흙이 조금씩 떨어져 내리기 때문에 어느 정도 위험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산사태 조짐이 보일 때는 신속이 대피해야 합니다. 

 

산사태 취약지역 확인 방법

지자체 관할 민원실에 문의하면 산사태 취약지역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산림청에서 제공해 주는 '산사태위험지도'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험등급 정보는 1~5등급이며 1등급(빨간색)이 산사태 발생 위험도가 가장 높은 등급입니다.

 

 

산사태위험지도 | 산림청

sansatai.forest.go.kr

 

산사태위험지도는 특정 지역의 산사태 발생 시 위험도를 파악을 위해 활용되며 데이터를 위조, 변조하는 경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제48조에 의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