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삼배고구두례(三拜叩九頭禮) 의미

by ◈⊙‡♧§▒ 2023. 3. 22.

병자호란 때 조선 인조는 청나라에 항복하면서 삼전도에서 청나라 황제에게 3번 절하고 9번 머리를 찧는 항복의식을 하였습니다. 3번을 절하는데 1번 절할 때마다 3번 땅에 머리를 부딪치는 치욕적인 의식이었습니다.

 

 

 

삼배고구두례(三拜叩九頭禮)

삼배고구두례를 한자로 풀이하면 三석 삼, 拜절하다 배, 叩두드릴 고, 九아홉 구, 頭머리 두, 禮절하다 예입니다. 1637년 병자호란 때 조선 인조는 남한산성과 강화도에서 대치하다가 청나라에 항복하면서 삼전도에서 청나라 황제에게 3번 절하고 9번 머리를 찧는 항복의식을 하였습니다. 3번을 절하는데 1번 절할 때마다 3번 땅에 머리를 부딪쳐야 하는 치욕적인 의식입니다.

 

이때 머리 부딪치는 소리가 나야 한다며 청나라 황제인 청태종은 소리가 나지 않는다고 다시 할 것을 요구하였고 인조는 수십 번 머리를 바닥에 찧었고 이마가 피투성이가 되었습니다. 청태종은 조선 인조의 항복을 받고 나서 자신의 공덕을 자랑하기 위해 삼전도 비를 세웠습니다. 현재 삼전도 비는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에 세워져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