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심폐소생술 가슴압박 횟수 알아보기

by ◈⊙‡♧§▒ 2023. 3. 29.

가슴 압박 횟수는 30회이고 1분당 120회의 속도로 빠르게 진행해야 합니다. 심폐소생술은 정지된 심장을 대신하여 손으로 가슴을 압박하여 심장과 뇌에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공급하는 응급처치입니다.

 

 

 

심폐소생술이란?

정지된 심장을 대신하여 손으로 가슴을 압박하여 심장과 뇌에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공급하는 응급처치입니다. 심정지 발생 후 골든타임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이 이루어져야 생존확률이 올라가기 때문에 최초발견자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가슴 압박 횟수는 30회이고 1분당 120회의 속도로 빠르게 진행해야 합니다.

 

심폐소생술 가슴압박 방법

1. 의식확인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의식과 호흡을 확인합니다. 호흡이 있으면 심정지 상태가 아니고 심폐소생술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심정지에 외상을 입은 사람인 경우에는 무리하게 이동하면 다른 골절이 발생할 수 있으니 꼭 필요한 경우에만 환자를 이동시킵니다.

 

2. 도움요청

반응이 없으면 즉시 119에 신고합니다. 직접 신고가 어려울 때는 옆에 있는 사람 중 한 명을 콕 집어서 신고를 부탁합니다.

 

3. 가슴 압박점 찾기

가슴뼈 아래쪽 1/2 지점이 압박점입니다. 쉽게 기억하기 위해 양쪽 젖꼭지 연결선 중앙으로 설명하기도 하는데 사람마다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올바른 위치는 아닙니다. 사진에서 빨간색은 가슴뼈 위치이고 파란색 원 위치는 가슴뼈 아래쪽 1/2 지점입니다. 심폐소생술 가슴압박점입니다.

가슴뼈-아래쪽-1/2-지점-위치
가슴뼈-아래쪽-1/2-지점-위치

(가슴뼈 사진출처: 위키백과)

 

4. 가슴압박

5cm 정도의 깊이로 가슴압박을 30회 실시합니다. 이때 1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가슴압박을 해야 합니다. 가슴압박으로 혈액을 몸전체로 이동시킵니다. 성인 가슴압박은 양손을 이용하고 소아, 어린이는 한 손을 이용하고 1세 미만 영아는 두 손가락을 이용해 심폐소생술을 진행합니다.

 

5. 기도확보 및 인공호흡

가슴압박 30회를 진행 한 다음 기도확보와 인공호흡을 2회 진행합니다. 몸 전체에 산소를 공급해 줍니다. 한 손으로 턱을 들어 올리고 다른 손으로 머리를 뒤로 젖혀 기도를 개방합니다. 머리를 젖힌 손의 검지와 엄지로 코를 막은 뒤 환자의 입에 숨을 2회 불어넣습니다.

 

6. 구급대 인계

119 구급대가 도착할 때까지 가슴압박 30회, 인공호흡 2회를 반복합니다.

 

 

가족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심폐소생술을 미리 배워두면 좋습니다. 지자체에 따라 심폐소생술 교육을 진행하고 있고 출장으로 단체교육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심폐소생술 가슴압박점과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