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구가 공전하는 증거 3가지

by ◈⊙‡♧§▒ 2023. 2. 23.

1년을 주기로 일어나는 시차, 별빛의 방향이 기울어지는 빛의 각도, 별빛 파장의 거리 변화로 지구의 공전을 설명합니다. 지구가 공전하는 3가지 증거인 연주시차, 광행차, 별빛 스펙트럼 변화를 알아보겠습니다.

 

 

연주시차

1년을 주기로 일어나는 시차입니다. 지구의 관측자가 동시에 두 지점에있는 별을 보았을 때 생기는 방향의 차를 시차라고 하는데 지구 공전에 의해 1년을 주기로 시차가 생깁니다. 비교적 가까이 있는 별이 멀리 있는 별을 배경으로 위치가 달라져 보이는 현상입니다.

  • 연주시차 한자 의미: 年 해 년, 周 두루 주, 視 볼 시, 差 다를 차

 

광행차

별빛의 방향이 기울어지는 각도를 광행차라고 합니다. 별빛이 실제의 방향보다 약간 앞에서 오는 것처럼 보이고 망원경을 앞으로 기울여야 별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비오는 날 빠른 걸음으로 걸어가면 비가 비스듬히게 들어와 우산을 약간 앞쪽으로 기울여야 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 광행차 한자 의미: 光 빛 광, 行 다닐 행, 差 다를 차

 

별빛 스펙트럼 변화

별빛을 스펙트럼으로 관찰하면 고유한 파장의 빛을 관측할 수 있는데 파장의 거리가 1년을 주기로 변하는 현상입니다. 지구가 별에 가까워지면 파장이 조금 짧아지고 지구가 별에서 멀어지면 파장이 조금 길어집니다. 이러한 현상은 매년 반복되며 수십 광년 떨어진 별들이 1년을 주기로 움직인다는 것은 합리적인 생각이 아니기 때문에 결국 지구가 공전한다는 증거가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