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에서 애매함과 모호함을 구별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고 불편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그러나 철학에서는 전달하려는 의미를 명료화하고 애매함과 모호함을 최소화해서 의미를 전달해야 합니다.
애매함 의미
- 철학에서 '애매함'은 두 가지 의미 이상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면 '손이 크다'는 '신체 일부인 손이 크다', '씀씀이가 후하고 크다', '수단이 좋고 많다'의 3가지 의미로 이해됩니다.
- 자신의 진심을 표현하고 싶지 않거나 자신이 한 말에 대해 책임지고 싶지 않을 때 일부러 애매한 말을 사용합니다. 이런 말들은 다른 사람들과의 진실한 관계를 맺는 것을 방해합니다.
모호함 의미
- 철학에서 '모호함'은 애매함과 달리 말의 의미는 분명하지만 적용되는 범위가 불분명함을 의미합니다.
- 예를 들면 '소금을 적당히 넣으세요', '물을 충분히 부어주세요'에서 적당히와 충분히는 모호한 표현입니다.
- 모호한 말은 기준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각자 개인이 생각하는 기준에 따라 다른 판단을 내리게 됩니다.
논증을 할 때는 명제의 의미가 분명해야 합니다. 문장과 대화에서 애매함과 모호함을 없애고 암묵적인 요소도 분명히 드러내어 논증의 의미를 명료화해야 합니다. 의도한 바를 왜곡하지 않고 의미를 표현해 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