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ebt Service Ratio) 뜻

by ◈⊙‡♧§▒ 2024. 2. 16.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연 소득에서 갚아야 할 원리금(대출원금+이자)의 액수를 뜻합니다.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자동차 할부, 학자금 대출, 카드론 등 모든 대출을 포함합니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뜻

대출받은 사람의 원리금 부담이 소득과 비교해서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대출 상환능력을 심사하기 위해 2016년 마련된 대출심사 지표입니다. 주택담보대출 이외에 금융권의 대출정보를 모두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연소득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금융부채가 커지면 DSR 값도 커지면서 대출한도가 대폭 축소될 수 있습니다.

 

원리금(대출원금+이자)

원리금은 대출원금과 대출이자를 합한 대출금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뿐만 아니라 신용대출, 자동차 할부, 학자금 대출, 카드론(카드대출), 마이너스통장 등 모든 대출의 원금과 이자를 더한 금액입니다.

 

DSR 평균값 58.4%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58.4%입니다. 대출자들이 1년 동안 번 돈에서 58.4%에 해당하는 금액을 대출금을 갚는데 쓴다는 뜻입니다. 최근에는 3개 금융기관 이상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 부동산 영끌족이 늘고 있어 DSR 값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금융위원회는 DSR이 70% 안팎이면 최소 생계비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소득을 대출을 갚아야 하는 상황으로 간주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