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 중에는 가벼운 대화는 하되 음식을 입에 넣은 채 이야기하지 않으며 맛있는 반찬만 골라 먹거나 뒤적거리는 행동은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습니다. 한국의 식사예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식사예절 11가지 정리
1.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든 다음 먹기 시작합니다.
어른과 식사를 할 때는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든 다음 아랫사람이 수저를 듭니다.
2. 숟가락과 젓가락을 한 손에 쥐지 않고 한 가지씩만 들고 사용합니다.
숟가락은 밥이나 국을 먹을 때 사용하고 젓가락은 반찬을 먹을 때 사용합니다.
3. 음식 그릇 위에 머리를 너무 숙이지 않도록 합니다.
배가 고파 허겁지겁 먹지 않고 천천히 먹도록 합니다.
4. 음식을 먹을 때 그릇에 가까이하지 않도록 합니다.
국을 먹을 때 자주 하는 실수인데 그릇에 입을 가까이 대지 않고 숟가락으로 먹습니다.
5. 여러 사람이 함께 먹을 때는 식사 속도를 맞춥니다.
다 먹었다고 수저를 놓고 일어나지 말고 수저를 그릇에 얹어 놓고 기다려서 다른 사람이 다 먹으면 수저를 같이 내려놓고 식사를 마칩니다.
6. 국은 그릇째 들고 마시지 않습니다.
그릇을 들고 먹는 것은 예절에 어긋나며 숟가락과 젓가락을 이용해 식사를 합니다.
7. 반찬을 뒤적거리거나 골라 가며 먹지 않고 양념을 털면서 먹지 않습니다.
맛있는 반찬만 골라 먹거나 뒤적거리는 행동은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습니다.
8. 뼈나 생선 가시는 옆사람에게 보이지 않도록 휴지에 싸서 버립니다.
한 곳에 가지런히 모아두거나 빈 접시에 두어 식탁을 더럽히지 않도록 합니다.
9. 식사 중 대화를 하되 음식을 입에 넣은 채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입안에 있는 음식물이 튀거나 입안의 음식물이 보여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다 먹고 이야기를 합니다.
10. 식사 중 기침이나 재채기가 나면 얼굴을 옆으로 돌리고 휴지로 입을 가리고 합니다.
갑자기 기침과 재채기가 나올 때는 입을 손으로 가리고 얼굴을 옆으로 돌리고 해야 합니다.
11. 식사를 다 마쳤을 때는 "잘 먹었습니다" 인사를 합니다.
식사를 시작할 때 마쳤을 때 감사인사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