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 근로장려금 가구별 계산방법

by ◈⊙‡♧§▒ 2023. 4. 15.

근로장려금은 산정표에 따라 계산되며 단독가구 소득이 400만 원~900만 원이면 165만 원, 홑벌이가구 소득이 700만 원~1,400만 원이면 285만 원, 맞벌이가구 소득이 800만 원 ~1,700만 원이면 330만 원을 받습니다.

 

 

 

단독가구

단독가구 소득 구간 근로장려금
400만원 미만 소득 X (165/400)
400만원 이상 ~ 900만원 미만 165만원(최대 금액)
900만원 이상 ~ 2,200만원 미만 165만원-[(소득-900만원) X (165/1,300)]
2,200만원 이상 없음

단독가구의 연간 소득 구간이 400만 원 이상~900만 원 미만이면 근로장려금 최대금액 165만 원을 받습니다. 소득구간이 400만 원 미만 일 때 소득이 줄어들수록 근로장려금 지급액도 줄어듭니다. 소득구간이 900만 원 이상~ 2,200만 원 미만 일 때 소득이 늘어날수록 근로장려금 지급액은 줄어듭니다. 근로장려금은 일정 수준의 소득이 있을 때 최대금액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홑벌이가구

홑벌이가구 소득 구간 근로장려금
700만원 미만 소득 X (285/700)
700만원 이상 ~ 1,400만원 미만 285만원(최대 금액)
1,400만원 이상 ~ 3,200만원 미만 285만원-[(소득-1,400만원) X (285/1,800)]
3,200만원 이상 없음

홑벌이가구의 연간 소득 구간이 700만 원 이상~1,400만 원 미만이면 근로장려금 최대금액 285만 원을 받습니다. 소득구간이 700만 원 미만 일 때 소득이 줄어들수록 근로장려금 지급액도 줄어듭니다. 소득구간이 1,400만 원 이상~ 3,200만 원 미만 일 때 소득이 늘어날수록 근로장려금 지급액은 줄어듭니다.

 

맞벌이가구

맞벌이가구 소득 구간 근로장려금
800만원 미만 소득 X (330/800)
800만원 이상 ~ 1,700만원 미만 330만원(최대 금액)
1,700만원 이상 ~ 3,800만원 미만 330만원-[(소득-1,700만원) X (330/2,100)]
3,800만원 이상 없음

맞벌이가구의 연간 소득 구간이 800만 원 이상~1,700만 원 미만이면 근로장려금 최대금액 330만 원을 받습니다. 소득구간이 800만 원 미만 일 때 소득이 줄어들수록 근로장려금 지급액도 줄어듭니다. 소득구간이 1,700만 원 이상~ 3,800만 원 미만 일 때 소득이 늘어날수록 근로장려금 지급액은 줄어듭니다.

 

근로장려금 지급액은 산정표(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에 따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