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09

부가가치세 예정신고와 확정신고 차이점 부가가치세는 6개월을 과세기간으로 하여 확정신고를 합니다. 6개월 과세기간을 다시 3개월로 나누어 중간정산을 할 수 있도록 예정신고 기간을 두고 있습니다. 예정신고과 확정신고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부가가치세 신고 부가세는 분기별로 나눠서 1월, 4월, 7월, 10월 총 4번을 낸다고 보면 됩니다. 4월과 10월은 예정신고 기간이고 1월과 7월은 확정신고 기간입니다. 6개월치를 한 번에 내면 부담이 되기 때문에 분기마다 예정신고를 하여 중간정산을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인사업자의 경우 편의를 위해 예정신고를 예정고지로하고 있습니다. 법인사업자 : 4월·10월 예정신고/1월·7월 확정신고 (4회 신고) 개인사업자 : 4월·10월 예정고지/ 1월·7월 확정신고 (2회 고지, 2회 신고) 간이사업자 : .. 2023. 4. 20.
4월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예정고지 제외 대상자 부가가치세 예정고지 제외 대상자는 간이과세자, 예정고지 세액이 50만 원 미만인 영세 사업자,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전환된 사업자, 태풍·홍수·산불로 피해를 입은 지역의 사업자입니다. 부가가치세 예정고지 4월 초 국세청에서 부가가치세 예정고지 안내를 합니다. 부가세 예정고지를 받으면 부가세를 기간 내 납부해야 되고 안내면 가산세가 붙습니다. 1월에 냈던 부가세의 절반금액을 4월에 내게 하고 7월에 부가세 확정신고할 때 4월에 냈던 부가세를 차감해 줍니다. 한 번에 부가세를 내면 부담스러우니 분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부가가치세 예정고지 제외 대상자 ▷납부의무 면제자 간이과세자 ▷예정고지 기준금액 미만 예정고지 세액이 50만 원 미만인 영세 사업자 ▷사업자 유형전환 작년에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 2023. 4. 20.
전자세금계산서 보안카드 신청서 작성 예시 전자세금계산서 보안카드 신청서에는 사업자명, 사업자등록번호, 이름, 생년월일, 사업장소재지, 보안카드비밀번호, 이메일주소, 핸드폰 번호를 차례로 작성해 줍니다. 보안카드 비밀번호는 숫자조합 4자리입니다. 보안카드 신청서 작성방법 세무서에 방문하여 신청이 가능하고 보안카드 신청서를 작성하고 제출하면 바로 보안카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보안카드는 발급받은 날 다음날부터 사용이 가능합니다. 보안카드 발급 비용은 무료이고 한번 발급받으면 사업하는 동안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23. 4. 19.
개인사업자 전자세금계산서용 보안카드 무료 발급방법 전자세금계산서 보안카드는 세무서에서 발급해 주고 비용은 무료이고 사업하는 동안 갱신 없이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세무서에 방문해서 보안카드 신청서를 작성하면 보안카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용 보안카드 홈택스에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국세청에 전송할 때 전자서명을 해야 되는데 이때 보안카드가 필요합니다. 전자세금계산서용 공인인증서로도 전자서명이 가능하지만 발급비용이 있고 유효기간이 1년이라서 매년 갱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하지만 보안카드는 발급비용이 없고 사업하는 동안 갱신 없이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개인사업자 보안카드 발급방법 준비물은 신분증만 있으면 됩니다. 보안카드 신청서를 작성할 때 사업자번호, 사업장주소를 적어야 하니깐 이 부분도 확인해 줍니다. 본인이 거주하고 .. 2023. 4. 19.
개인사업자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행 가산세 작년 매출액이 1억 원 이상이면 전자세금 계산서 의무발급 개인사업자입니다. 전자세금계산서는 홈택스에서 발급하고 국세청으로 전송해야 합니다. 만약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 후 전송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있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행 작년 매출액이 1억 원 이상이면 전자세금 계산서 의무발급 개인사업자가 됩니다.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때에는 종이가 아닌 반드시 전자세금계산서로 발급합니다. 부가가치세 면세거래에서는 전자계산서를 발급합니다. 4월에 국세청에서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 안내' 우편물을 사업장 주소로 보내주며 이 우편물을 받은 해 7월 거래분부터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해야 합니다. 부가가치세 과세거래에서는 '전자세금계산서'를 면세거래에서는 '전자계산서'를 발급합니다.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행 가산세 전자세금.. 2023. 4. 19.
키치(Kitsch) 의미 아이브 '키치' 제목의 노래과 가사 후렴구에 '나인틴스 키치'가 반복됩니다. '키치'는 반항아스럽지만 자유분방하고 매력적인 감성을 의미하고 '나인틴스 키치'는 자유분방한 10대의 감성을 의미합니다. 키치 의미 키치(Kitsch)의 단어 의미는 인기 있지만 질이 낮고 가치 없는 예술품 또는 물건을 말합니다. 패션과 문화에서 사용하는 키치는 자유분방하고 자유로운 이미지를 타나내거나 촌스럽고 유지한 이미지를 활용한 B급감성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아이브의 키치는 반항아스럽지만 자유분방하고 매력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사에 '나이틴스 키치'는 10대의 자유로운 감성과 자유분방함을 의미합니다. 키치룩 아이브가 '키치'의 뮤직비디오에서 입은 옷이 키치룩을 대표합니다. 복고풍의 옷, 크롭티, 헐렁한 바지, 화려.. 2023. 4. 19.
착한 운전자 마일리지 신청 방법(장롱면허도 신청하기) 장롱면허 운전자를 포함하여 운전면허증을 보유한 운전자라면 신청 대상자입니다. 마일리지로 면허벌점과 정지 일수를 감경받습니다. 민원 24시 또는 교통민원 24시를 통해 착한 운전자 마일리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착한 운전자 마일리지? 착한 운전자 마일리지는 무위반, 무사고 서약 후 마일리지 10점을 적립받는 제도입니다. 장롱면허 운전자를 포함하여 운전면허증을 보유한 운전자라면 신청 대상자이고 마일리지로 면허벌점과 면허정지 일수를 감경받습니다. 해마다 무위반, 무사고 서약을 하고 그것을 지키면 마일리지가 10점씩 누적됩니다. 다만 해마다 착한 운전자 마일리지를 신청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신청 방법 컴퓨터로 신청할 경우 보안프로그램 설치 단계가 있고 모바일로 신청할 경우 보안프로그램 설치 과정이 없고 .. 2023. 4. 18.
근로장려금 부정 수급 신고 방법 근로장려금 부정수급 신고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국민신문고를 통해 신고·제보를 할 수 있고 두 번째는 세무서에 방문하거나 우편, 팩스를 보내서 신고·제보를 할 수 있습니다. 국민신문고 신고 국민신문고 홈페이지 또는 국민신문고 모바일 어플을 통해서 신고할 수 있습니다. 국민신문고 서비스 이용 시 불편사항은 콜센터 1600-8172(평일 9:00~18:00, 주말·공휴일 휴무)으로 연락하시면 도움받으실 수 있습니다. 세무서 신고 세무서 방문, 우편, 팩스로 신고가 가능합니다. 거주지 관할 세무서를 방문하면 민원봉사실에서 신고가 가능합니다. 우편과 팩스를 이용할 경우 거주지 관할 세무서로 보내시면 됩니다. 세무서 이용 시 궁금한 사항은 콜센터 126(평일 9:00~18:00, 주말·공휴일 휴무)으.. 2023. 4.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