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에코마일리지 내용 확인하기(에너지, 자동차)
에코마일리지는 전기, 상하수도, 도시가스의 에너지 절약 정도와 자동차 주행거리의 감축 정도에 따라 마일리지를 쌓아주는 제도입니다. 에코마일리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에코마일리지 의미 예전에는 에코마일리지와 승용차마일리지가 따로 운영되었는데 22년도부터 서비스가 통합되었습니다.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자동차 주행거리의 감축 정도에 따라 마일리지를 지급합니다. 서울시 외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탄소중립포인트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1 마일리지는 1원으로 환산됩니다. 마일리지는 온누리상품권, 도서상품권, 카드 포인트, 아파트관리비납부, 지방세납부, 기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은 '서울시 통합 에코 마일리지'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https://ecomileage.seoul.go.kr)..
2023. 3. 10.
절약하고 탄소중립포인트 받기(에너지, 자동차)
탄소포인트제도는 전기, 상하수도, 도시가스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면 탄소중립포인트를 받고, 자동차 운행거리를 줄이면 현금인센티브를 받습니다. 탄소포인트제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탄소중립포인트란? 전기, 상하수도, 도시가스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면 탄소중립포인트를 지급하고 자동차 주행거리를 감축하면 현금 인센티브를 지급합니다. 서울시에서는 에코마일리지 제도를 운영 중이며 서울시 외의 타 지역(부산, 경남, 경북, 대구, 인천, 충남, 충북, 세종, 경기, 강원, 제주, 울산, 대전, 광주, 전남, 전북)에서는 탄소중립포인트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포인트 에너지 가정과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전기, 상하수도, 도시가스)를 과거 1~2년간 월별 평균 사용량과 현재 사용량을 비교하여 감축률이 ..
2023. 3. 10.
2023년도 기준중위소득 의미와 금액 확인하기
기준중위소득은 전체 가구의 소득순위에서 중간에 해당하는 소득입니다. 1인가구 207만 원, 2인가구 345만 원, 3인가구 443만 원, 4인가구 540만 원, 5인가구 633만 원, 6인가구 722만 원입니다. 기준소득을 기준으로 복지사업의 대상자를 선정합니다.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은 전체 가구의 소득 순위에서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입니다. 기준중위소득의 30%~50%의 금액과 가구의 소득을 비교하여 가구의 소득이 적으면 복지사업의 대상자로 선정되고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의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 매년 가구수에 따른 기준중위소득을 발표합니다. 생계급여(중위소득의 30%), 의료급여(중위소득의 40%), 주거급여(중위소득의 47%), 교육급여(중위소득의 5..
2023. 3. 9.
소득인정액 개념 이해하기
소득인정액은 근로소득, 연금소득과 집, 자동차, 금융 재산, 부채의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합산한 것입니다. 복지사업의 대상자를 선정할 때 심사의 기준이 되는 소득입니다. 소득인정액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소득인정액 이란? 근로소득, 연금소득과 집, 자동차, 금융 재산, 부채 등의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합산한 것입니다. 복지사업의 대상자를 선정할 때 소득인정액을 구해서 소득을 평가하여 심사 시 활용합니다. 기준중위소득과 소득인정액을 비교하여 소득인정액이 적으면 복지사업의 대상자로 선정되고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기초연금, 등의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인정액 계산하기 소득인정액=㉮소득평가액+㉯재산의 소득환산액 ㉮ 소득평가액=[0.7 X (①근로소득-10..
2023.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