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09

투명 페트병만 따로 분리수거 하는 이유 투명 페트병은 이물질 성분이 적어 재활용하기 좋은 플라스틱 재질입니다. 일반 플라스틱류와 따로 분리해서 배출해야 합니다. 고품질 재활용원료의 확보가 가능하고 생활쓰레기를 줄여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 이유 투명 페트병은 다른 플라스틱류에 비해 이물질 함량이 적어 재활용하기 좋은 플라스틱 재질입니다. '투명 페트병 전용 배출함'에 따로 모아서 배출해야 합니다. 투명 페트병만 따로 분리 배출하면 연간 2.9만 톤에서 10만 톤으로 국내 고품질 플라스틱 재활용원료 확보가 가능하고 환경오염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투명 페트병 전용 배출함에 페트병을 배출하면 투명 페트병 개수에 따라 '오늘의 분리수거' 어플을 통해서 포인트를 지급합니다. 배출 가능한 품목 투명한 페.. 2023. 3. 13.
메타버스 도서관 이란? 메타버스 도서관은 가상 도서관입니다. 책이 있는 자료실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가상도서관 공간 안에서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열람하고 사서에게 질문하고 도서관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 의미 '더 높은, 초월한'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의 가상세계를 의미합니다. 인터넷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본인의 아바타를 만들고 메타버스 세상을 경험합니다. 현실세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가상세계를 체험하거나 현실세계에 없는 새로운 가상세계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 플랫폼 종류에는 로블록스, 제페토, 게터타운 등이 있습니다. 메타버스 도서관 의미 도서관 시설을 가상공간에서 실제 도서관과 유사하게 만들.. 2023. 3. 13.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내용 확인하기(에너지, 자동차) 에코마일리지는 전기, 상하수도, 도시가스의 에너지 절약 정도와 자동차 주행거리의 감축 정도에 따라 마일리지를 쌓아주는 제도입니다. 에코마일리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에코마일리지 의미 예전에는 에코마일리지와 승용차마일리지가 따로 운영되었는데 22년도부터 서비스가 통합되었습니다.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자동차 주행거리의 감축 정도에 따라 마일리지를 지급합니다. 서울시 외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탄소중립포인트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1 마일리지는 1원으로 환산됩니다. 마일리지는 온누리상품권, 도서상품권, 카드 포인트, 아파트관리비납부, 지방세납부, 기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은 '서울시 통합 에코 마일리지'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https://ecomileage.seoul.go.kr).. 2023. 3. 10.
절약하고 탄소중립포인트 받기(에너지, 자동차) 탄소포인트제도는 전기, 상하수도, 도시가스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면 탄소중립포인트를 받고, 자동차 운행거리를 줄이면 현금인센티브를 받습니다. 탄소포인트제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탄소중립포인트란? 전기, 상하수도, 도시가스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면 탄소중립포인트를 지급하고 자동차 주행거리를 감축하면 현금 인센티브를 지급합니다. 서울시에서는 에코마일리지 제도를 운영 중이며 서울시 외의 타 지역(부산, 경남, 경북, 대구, 인천, 충남, 충북, 세종, 경기, 강원, 제주, 울산, 대전, 광주, 전남, 전북)에서는 탄소중립포인트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포인트 에너지 가정과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전기, 상하수도, 도시가스)를 과거 1~2년간 월별 평균 사용량과 현재 사용량을 비교하여 감축률이 .. 2023. 3. 10.
2023년도 기준중위소득 의미와 금액 확인하기 기준중위소득은 전체 가구의 소득순위에서 중간에 해당하는 소득입니다. 1인가구 207만 원, 2인가구 345만 원, 3인가구 443만 원, 4인가구 540만 원, 5인가구 633만 원, 6인가구 722만 원입니다. 기준소득을 기준으로 복지사업의 대상자를 선정합니다.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은 전체 가구의 소득 순위에서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입니다. 기준중위소득의 30%~50%의 금액과 가구의 소득을 비교하여 가구의 소득이 적으면 복지사업의 대상자로 선정되고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의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 매년 가구수에 따른 기준중위소득을 발표합니다. 생계급여(중위소득의 30%), 의료급여(중위소득의 40%), 주거급여(중위소득의 47%), 교육급여(중위소득의 5.. 2023. 3. 9.
소득인정액 개념 이해하기 소득인정액은 근로소득, 연금소득과 집, 자동차, 금융 재산, 부채의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합산한 것입니다. 복지사업의 대상자를 선정할 때 심사의 기준이 되는 소득입니다. 소득인정액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소득인정액 이란? 근로소득, 연금소득과 집, 자동차, 금융 재산, 부채 등의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합산한 것입니다. 복지사업의 대상자를 선정할 때 소득인정액을 구해서 소득을 평가하여 심사 시 활용합니다. 기준중위소득과 소득인정액을 비교하여 소득인정액이 적으면 복지사업의 대상자로 선정되고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기초연금, 등의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인정액 계산하기 소득인정액=㉮소득평가액+㉯재산의 소득환산액 ㉮ 소득평가액=[0.7 X (①근로소득-10.. 2023. 3. 9.
올바르게 경구 피임약 먹는 방법 경구 피임약은 생리를 시작하는 첫날부터 한알씩 복용해야 합니다. 21일 동안 피임약을 먹고 7일간 약을 먹지 않고, 약을 안 먹는 기간에 생리를 시작합니다. 약을 먹는 기간(21일)과 안 먹는 기간(7일)을 반복합니다. 경구 피임약이란? 먹는 피임약은 여성호르몬을 조절하여 피임하는 방법으로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전피임약을 올바르게 복용해야 피임약의 효과가 있습니다. 피임약 먹는 방법 생리를 시작하는 첫날부터 매일 한 알씩 약을 복용합니다. 하루에 1알씩 같은 시간대에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1일 치의 약을 처방받으면 21일 동안 하루에 한 알씩 먹고, 피임약을 다 먹은 후 2~3일 이내에 생리가 시작됩니다. 몸상태 따라 28일 약을 처방받으면 마지막날에 소퇴성 출혈이 나타날 수 있으.. 2023. 3. 8.
나의 배란일 계산하기 마지막 생리시작일로 2주 후가 배란일이고 배란일이 속한 일주일이 배란기입니다. 배란기에는 임신가능성이 20~30% 높습니다. 임신과 피임을 계획하고 있다면 배란일과 배란기를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됩니다. 배란일 이란? 건강한 여성은 매달에 한 번 배란을 합니다. '배란'은 생리 주기에 따라 난포가 터지면서 난소 밖으로 배출되며 '배란일'은 성숙된 난자가 배출되는 날입니다. 배란일을 기준으로 앞으로 5일 뒤로 4일의 기간이 '배란기'입니다. 배란기에는 임신가능성이 20~30% 높아집니다. 배란일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생리 주기를 알아야 합니다. 배란일 계산하기 마지막 생리시작일로 2주 후가 배란일입니다. 배란일의 앞으로 5일, 뒤로 4일이 배란기입니다. 일요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2023. 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