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09

택배에서 사용하는 익일, 명일, 금일 의미 알아보기 택배가 익일에 배송된다는 것은 오늘을 기준으로 내일 배송된다는 뜻입니다. 익일은 어떤 날을 기준으로 다음날을 의미하고, 명일은 내일을 의미하고, 금일은 오늘을 의미합니다. 택배 안내 문장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익일 익일은 한문으로 다음날 익(翌), 날 일(日)로 어떤 날을 기준으로 그다음 날을 의미합니다. 어떤 날을 언급하지 않고 익일을 쓸 때는 오늘을 기준으로 다음날을 말합니다. 내일과는 뜻이 다릅니다. 내일은 기준시점이 오늘이고 오늘의 바로 다음날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입금 확인 후 익일 배송'은 입금이 확인된 날을 기준으로 그다음 날 배송한다는 뜻입니다. 명일 명일은 한문으로 밝을 명(明), 날 일(日)로 오늘의 바로 다음 날입니다. 내일과 뜻이 같습니다. 예를 들면 '명일 배송'은 내일 배.. 2023. 3. 23.
아이락스 KR-6170 팬타그래프 키보드 사용후기 아이락스 KR-6170 팬타그래프 키보드를 써본 후기를 공유해 볼까 합니다. 컴퓨터 작업을 오래 하면서 똑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고 손가락 끝에 힘을 쓰면서 손이 찌릿하고 손에 힘이 없어지는 경험을 했습니다. 팬타그래프 키보드 구매한 이유 컴퓨터 작업을 오래 하면서 똑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고 손가락 끝에 힘을 쓰면서 손이 찌릿하고 손에 힘이 없어지는 경험을 했습니다. 손가락에서부터 시작해서 팔이 아리기도 하고 손이 부은 거 같고 손 힘이 빠지기도 했습니다. 손가락에 좋다고 하는 팬타그래프 형식의 높이가 낮은 키보드를 알아보았고 아이락스 KR-6170 키보드가 저렴하고 후기도 괜찮아 구매했습니다. 팬타그래프 키보드 사용 후기 아이락스 KR-6170 팬타그래프 키보드가 손가락 힘이 적게들고 부드럽게 눌.. 2023. 3. 23.
삼배고구두례(三拜叩九頭禮) 의미 병자호란 때 조선 인조는 청나라에 항복하면서 삼전도에서 청나라 황제에게 3번 절하고 9번 머리를 찧는 항복의식을 하였습니다. 3번을 절하는데 1번 절할 때마다 3번 땅에 머리를 부딪치는 치욕적인 의식이었습니다. 삼배고구두례(三拜叩九頭禮) 삼배고구두례를 한자로 풀이하면 三석 삼, 拜절하다 배, 叩두드릴 고, 九아홉 구, 頭머리 두, 禮절하다 예입니다. 1637년 병자호란 때 조선 인조는 남한산성과 강화도에서 대치하다가 청나라에 항복하면서 삼전도에서 청나라 황제에게 3번 절하고 9번 머리를 찧는 항복의식을 하였습니다. 3번을 절하는데 1번 절할 때마다 3번 땅에 머리를 부딪쳐야 하는 치욕적인 의식입니다. 이때 머리 부딪치는 소리가 나야 한다며 청나라 황제인 청태종은 소리가 나지 않는다고 다시 할 것을 요구하.. 2023. 3. 22.
십승기와 십승지지 정리 십승기는 전쟁의 피해가 없는 장소를 담고 있습니다. 공주의 유구와 마곡, 무주의 무풍, 보은의 속리산, 부안의 변산, 성주의 만수동, 안동의 내성, 예천의 금당곡, 영월의 정동 상류, 운봉의 두류산, 풍기의 금계촌입니다. 십승기 십승기(十勝記)는 조선시대 남사고(1509~1571)라는 인물이 전국의 명산을 돌아다닌 후에 쓴 책입니다. 십승기에는 자연환경이 좋고 전란의 피해가 없으며 자급자족의 경제생활이 가능한 열 가지 장소를 소개합니다. 열 가지 장소를 십승지지(十勝之地)라 합니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전쟁이 빈번해지고 살기가 어려워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십승지지를 찾아 떠돌아다녔다고 합니다. 십승지지 십승지지에는 공주의 유구와 마곡, 무주의 무풍, 보은의 속리산, 부안의 변산, 성주의 만수동, 안동의 내.. 2023. 3. 22.
일본이 한국 산에 쇠말뚝을 박았다? 일본은 식민 지배 동안 한국의 주요 산에 많은 숫자의 쇠말뚝을 박았습니다. 중요한 산맥에 쇠말뚝을 박음으로써 우리 민족의 정기를 끊어버리고 한국인에게 자포자기하는 마음을 갖도록 만드는 침략행위입니다. 일제의 쇠말뚝 일본은 36년간의 식민 지배 동안 한국의 주요 산에 많은 숫자의 쇠말뚝을 박았습니다. 우리나라 주요 산의 중요한 지점에 쇠말뚝을 박음으로써 우리 민족의 정기를 끊어버리려는 행위였습니다. 이 행위는 사람을 헤치는 일은 아니지만 사람의 정신을 죽이는 일이었습니다. 산맥의 좋은 기운을 받으면 그곳에서 큰 인물이 태어난다고 믿었는데 그 기운을 끊어버리고 사람들에게 자포자기하는 마음을 갖도록 만들었습니다. 또 쇠말뚝을 박고 일본 무속인과 일본 인들이 일본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습니다. 김영삼 정.. 2023. 3. 21.
사육신, 생육신 의미와 역사적 배경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역모죄로 6명의 신하가 세조에게 죽임을 당하게 되고 이들을 사육신이라고 합니다. 생육신은 죽임을 당하지는 않았으나 세조가 왕이 되자 벼슬을 버리고 절개를 지킨 여섯 사람을 말합니다. 사육신 의미 조선 6대 임금인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7대 임금인 세조(수양대군)에게 죽임을 당한 여섯 명의 신하를 말합니다.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역모죄로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응부, 유성원 6명의 신하가 세조에게 죽임을 당하게 되고 이들을 사육신이라고 합니다. 1977년에 사육신에 김문기라는 인물도 포함되는 것으로 인정되어 총 7명의 신하를 말합니다. 사육신(死죽을 사, 六여섯 육, 臣신하 신) 생육신 의미 사육신처럼 죽임을 당하지는 않았으나 세조가 왕이 되자 벼슬을 버리고 절개를 지킨 .. 2023. 3. 21.
조선팔도 각 도의 이름에 관한 유래 우리나라 각 도의 이름은 마을 이름에서 한 글자씩 따와서 만들었습니다. 강원도는 강릉과 원주, 충청도는 충주와 청주, 전라도는 전주와 나주, 경상도는 경주와 상주, 함경도는 함흥과 경성, 황해도는 황주와 해주, 평안도는 평양과 안주입니다. 도 이름 유래 옛날 마을의 명칭을 윗마을과 아랫마을로 지었습니다. 윗마을은 상리(上里), 아랫마을은 하리(下里)가 됩니다. 윗마을과 아랫마을이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묶이면서 마을 이름을 새로 지을 때 상리에서 한 글자, 하리에서 한 글자씩 따와서 이름을 지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조선팔도의 이름을 지었습니다. 사람이 많이 모여사는 동네의 이름에서 한 글자씩 따와서 각 도의 이름을 만들었습니다. 예를 들면 강원도는 강릉과 원주의 앞글자를 따와서 이름을 지었습니다. 충청도는.. 2023. 3. 20.
인도의 카스트제도 계급과 불가촉천민 알아보기 인도의 신분계급에는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가 있습니다. 네 개의 신분에 들지 못하는 사람들은 불가촉천민 계급입니다. 법으로 폐지 되었지만 인도 사회에서는 신분제도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카스트제도 인도의 카스트제도는 네 개의 신분과 신분에 들지 못하는 불가촉천민으로 나뉩니다. 1 신분은 브라만으로 종교를 담당하는 승려입니다. 2 신분은 크샤트리아로 전사와 귀족입니다. 3 신분은 바이샤로 평민입니다. 4 신분은 수드라로 천민 계급입니다. 그리고 이 네 개의 신분에 들지 못하는 사람들을 불가촉천민이라고 합니다. 불가촉천민 불가촉천민은 4개의 카스트제도에 속하지 않는 사람들로 인도 인구의 15%에 해당하며 약 2천만명입니다. 청소, 세탁, 이발, 도살업 등의 가장 힘들고 어려운 일을 담당하고 있으.. 2023. 3. 20.